문화재도록/나라밖

L'Art Coreen au musee Guimet 도록에서

멀리가세 2006. 11. 1. 21:37

  [L'Art Coreen au musee Guimet 서지사항]

 

  편집: Pierre Cambon

  발행: Réunion des Musées Nationaux

  발행연도: 2000년

  하드카바(Cloth). 384쪽. 크기: 245×285

 

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
더이상 콘텐츠를 노출 할 수 없습니다.

자세히보기


 

 

  파이가 멋있어 보여 이용을 해봤더니 쓴 글 수정하기가 복잡해서 도저히 안되겠네.

  원래대로 가장 단순한 방식으로 해야지.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[불좌상, 16세기, 조선시대]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화들짝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선정에 잠겼다 잠시 조는 사이 누군가 덜컥 선방문을 열었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그 순간을 포착한 조선 장인의 유머라고나 할까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[병, 15-16세기] 

 

 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[동녀상, 17-18세기, 조선시대]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정면을 향하면서 약간 고개를 숙인 얼굴과 가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지런한 발모양새는 위아래에서 정적인 분위기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를 만들면서 목각상 전체의 안정성을 확보한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반면 똑바른 머리와 살짝 비튼 몸체의 충돌,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비스듬한 어깨, 긴 옷소매의 부드럽지만 변화가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큰 곡선, 그 동세의 여운을 상의 발까지 전달하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는 고름은 풍부한 역동성을 보여준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정과 동의 균형이 이루는 아름다움.

 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[탈, 조선시대]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우리나라 탈의 특징은 해학성에 있다고 들었다. 유명한 하회탈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이나 오광대놀이탈, 봉산탈 등을 보면 수긍이 간다. 그러나 위의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탈들의 인상은 해학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. 사실적이고 어떤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면에서는 그로테스크해 보이기까지 한다. 이 탈들의 제작시기는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표시되어 있지 않고 다만 1888년에 입수되었다는 기록만 해설에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남겨 놓았다. 만약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탈이라면 단지 해학의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차원에서 해소될 수 없는 수준으로 끓어 오르고 있던 기층민중들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의 불만이 투영된 모습이라 비정할 수 있지 않을까? 비약일까?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

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[벽독금강도 碧毒金剛圖, 조선시대]

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오윤의 판화가 생각나서.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[매듭 달린 채색병, 18-19세기, 대나무]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[책장, 조선시대]

 

 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[화각이층농, 조선시대]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

 

'문화재도록 > 나라밖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유럽박물관소장 한국문화재  (0) 2007.04.06